워싱턴 D.C. : 2025년 5월 31일] : 제임스 신 목사가 워싱턴 D.C.에 위치한 미국 연방하원 의원실을 직접 방문, 이재명 2025년 대선 후보의 대북 제재 위반 및 미국 제재법 위반 혐의와 관련된 공식 고발장을 전달하며 강력한 외교·안보 대응을 촉구했다. 신 목사는 이번 미국 의회 방문에서 한국 코커스(Korea Caucus)및 하원 외교위원회(House Foreign Affairs Committee) 소속 의원들을 포함한 다수 의원실을 찾아가 고발장을 전달했다. 이는 단순한 문서 전달을 넘어, **대한민국 유력 대선후보의 국제법 위반 의혹을 미국 의회 내에 공론화**시키기 위한 외교적 행보로 평가된다. 제임스 신 목사가 고발장을 전달한 의원실 명단: 1. 영 킴(Young Kim)의원 – 캘리포니아, 한국 코커스 공동의장 2. 제임스 코머(James Comer)의원 – 켄터키, 하원 감독위원회 위원장 3.리즈 패넬 플레처(Lizzie Pannill Fletcher)의원 – 텍사스 4. 앙드레 카슨(André Carson)의원 – 인디애나 신 목사는 보좌진들과의 면담에서 이재명 2025년 대선 후보의 대북 불법 송금은 단순한 국내 문제가 아니라
[워싱턴=고구려프레스 보도팀]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국제사회에 대한민국의 진실을 알리는 데 앞장선 제임스 신 목사님을 응원하기 위한 공식 게시판이 고구려프레스 홈페이지에 개설되었습니다. 게시판 URL : https://goguryeo.press/mybbs/bbs.html?bbs_code=Watch3 이번 게시판은 신 목사님이 대한민국 2025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대북 불법 송금 혐의를 미국과 국제사회에 고발하며 벌이고 있는 외로운 투쟁과 정의로운 목소리에 국민의 응원과 지지를 모으기 위한 것입니다. ■ “진실을 밝히는 외로운 투쟁에 함께해 주십시오” 제임스 신 목사는 미국에서 활동 중인 재미 목회자이자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국제적 정의 투쟁의 선봉장입니다. 그는 이재명 후보가 북한에 800만 달러(약 100억원) 상당의 불법 자금을 은밀히 송금했다는 의혹을 미국 재무부와 유엔 등 국제기구에 고발하였고, 이에 대한 명확한 조사와 조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용기 있는 고발은 단지 개인의 결단이 아닌, 대한민국의 법치와 안보를 지키려는 모든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입니다. ■ 응원 게시판 참여 안내 * 고구려프레스 공식
동아시아평화연구원(이사장 김상순)과 국제멸공연맹추진본부(공동의장 김상순‧김회창)는 31일 오후 4시 김문후 국민의힘 대선후보 캠프가 있는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601호에서 ‘김문수 후보 지지선언 & 부정선거 척결을 위한 트럼프 대통령과 김문수 후보 한‧미 공동협력 제안 발표회’를 갖는다. 만연한 부정선거 상황에 대해 통탄하며 부정선거 척결과 관련하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김문수 후보와의 한‧미 협력을 제안하는 긴급 기자회견이다. 이날 발표회의 개막사는 김용주 국가대개조위원회 상임고문이, 격려사는 홍수환 전 세계복싱챔피언이 맡는다. 한글 성명서 발표는 김상순 동아시아평화연구원 이사장이, 영문 성명서는 조수아 육군항공사령부 영어강사(CEO리더십 강사)가 담당한다. 자유발언은 김호일 박사(전 대한노인회장‧3선 국회의원)‧김회창 한미동맹강화재단 총재(국제멸공연맹추진본부 공동의장)‧성중경 한미맥아더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강기정 목사(부산)‧조장식 바이탈경영교육원 교수‧이기석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박동순 연세대 경제대학원 교수‧이규호 코리안드림이민자연합회 대표(전 중국공안)‧이철우 국립충북대 교수 등이 나선다. 이날 발표되는 성명서는 영문으로 번역돼 트럼
2025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후보 이재명의 국제 제재 위반 혐의에 관한 기사가 미국 주요 언론을 비롯한 521개 매체에 광범위하게 보도되었다. 이번 사건의 고발자인 제임스 신 목사는 미국 내 다양한 정치권 및 시민사회 단체들과 연대하여 이 사건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있다. 해당 내용은 미국의 주요 검색 엔진인 구글(Google)‧빙(Bing)‧야후(Yahoo)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미국 내 TV‧라디오‧잡지‧비즈니스‧금융‧뉴스 저널 및 기술 관련 매체 등 총 400곳 이상의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 배포되었다. 대표적으로 Digital Journal, XPR Media, GoMedia, Acquire Media, Financial Content, 그리고 ABC‧CBS‧NBC 계열의 Market Minute 등 영향력 있는 플랫폼들이 포함되었다. 또한 Cloud Quote Network‧USA News Journals를 비롯하여 GoCanada 등 캐나다 내 다수의 매체가 해당 사건에 대한 상세한 보도를 진행하였다. 이로써 해당 사안이 미국을 포함한 국제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보도의 핵심 내용은 미국 재무부 및 유엔이 이재명 후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3차례의 대통령 후보 초청 TV토론회가 27일 마무리 된 가운데 역대 대부분의 유력 대선 후보가 통과의례처럼 진행돼 온 중견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의 ‘대선 후보 초청 토론회’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가 불참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관훈클럽 관계자는 28일 “이재명 대선 후보의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는 없다”고 말했다. 김승련 관훈클럽 총무는 8일 회원들과 만나는 중 “그동안 이 후보 측과 다각도로 접촉을 하며 토론회 참석을 권유했으나 부정적인 반응”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한때 ‘대통령 응모자 예비 면접장’으로 불릴 정도로 권위 있는 관훈클럽 토론회는 지난달 30일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시작으로 이달 6일엔 예비후보 신분으로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8일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출석시켜 호된 검증을 했다. 각 후보들은 관훈클럽에서 지명한 패널들의 날카롭고 예민한 질문에 답하는라 땀을 뻘뻘 흘려야했다. 이준석 후보는 국민의힘 최종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 한덕수 예비후보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아내의 무속 관련 질문을 받아야 했고, 김문수 후보는 한덕수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압박성 질문에 토론 시간 내내 시
최근 며칠 사이 법조계 안팎에서는 조용한 파문이 퍼지고 있다. 검찰 내 주요 보직을 맡고 있던 고위 간부들이 잇따라 사의를 표명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름을 걸고 싸우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묵묵히 그러나 확실하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해오던 인물들이다. 과거 정치적 이유로 탄핵당한 아픔을 겪었고, 그 이후 복귀하여 다시 국민을 위한 법 집행에 나섰던 사람들이었다. 그런 이들이 다시 자리를 떠난다. 공적인 설명은 '개인 사정' '건강 문제' '충분한 고심 끝에 내린 결단'으로 포장된다. 그러나 정작 그 자리를 지켜본 이들은 안다. 그것이 단순한 사직이 아니라, 조용한 압박의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을. 떠난 자리는 비어 있고, 그 공백은 다시 채워지지 않는다. 마치 누군가가 의도한 것처럼. 무언의 침묵이 조직을 감싼다. '괜히 나섰다가 어떤 일을 당할지 모른다'는 불안이, '중립을 지키는 것이 오히려 불이익이 될 수 있다'는 분위기가, 법의 공간을 조용히 뒤덮는다. 법조인들이 떠나고 남은 자리에는 두려움과 자기검열만이 남는다. 수사는 특정 방향으로 흐르고, 판단은 조심스레 조정된다. 이것이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다면, 누가 그것이 개입이나 압박이 아니라고 말할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1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에서 ‘중국인 간첩 99명이 체포됐다’는 특종 기사를 작성한 전국종합일간지 스카이데일리의 허겸 선임기자(전 특별취재부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은 허 기자가 허위 사실을 기반으로 한 기사를 온라인에 유포해 선관위 직원들의 공무 집행을 방해했다는 황당한 혐의(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및 명예훼손 등)를 적용했다. 해당 기사는 1월 16일 오전 6시40분 스카이데일리 홈페이지에 게재됐다. 해당 기사에서 허 기자는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일, 경기도 수원시 선거연수원에서 중국인 간첩 99명이 체포돼 주일미군기지로 압송됐다”고 보도했다. 허 기자와 스카이데일리는 이후 속보를 통해 체포된 중국인 간첩들의 이후 행적 등을 꾸준히 보도해 왔다. 특히 노상원 전 보안사령관이 민간인 신분으로 중국인 간첩 체포 현장을 지휘한 것까지 취재 보도해 비밀작전 주체인 미국의 군‧정보기관의 견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보기관은 중국인 체포 비밀작전 휴민트 참여자의 일원이자 초기 기사 제보자 중 한 명인 안모 씨를 스카이데일리에 보내 해당 기사들을 ‘삭제’하려 시도했으나 신문사 측의 거부로
US워싱턴 한인회 회장 제임스 신 목사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국제사회와 언론 여러분. 저는 미국 US워싱턴 한인회 회장 제임스 신입니다. 오늘 이 자리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국제 법치주의, 그리고 한반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한 중대한 목소리를 내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1. 고발 결심 배경 저는 단순히 한 교회 목사나 한인회 회장의 입장을 넘어서서, 진실을 지켜야 할 책임을 느꼈습니다. 이재명 대선 후보가 북한에 수백만 달러를 송금한 정황은 단순한 정치적 논란을 넘어 국제 질서에 대한 정면 도전입니다. 북한은 현재 유엔의 대북제재 대상이며, 그들에게 자금이 흘러갔다면 이는 국제사회의 정의에 대한 도전이자 안보 위협입니다. 2. US워싱턴 한인회 회장으로서의 책무 한인회는 단순한 지역 조직이 아닙니다. 우리는 조국 대한민국과 연결된 공동체이며, 대한민국의 자유와 법치가 무너지도록 방관할 수 없습니다. 저는 미국의 자유민주주의 시스템 안에서 진실을 외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국제사회에 이 사안을 알리는 것이 우리의 책무라고 믿었습니다. 3. 적용된 국제법과 고발의 핵심 근거 이번 고발은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과 글로벌 마그니츠키법에 기반한 것입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북한에 800만 달러(약 100억 원)를 송금했다는 혐의로 미국과 유엔에 국제 고발된 사건이 대한민국을 넘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고발은 단순한 정치적 논쟁이 아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를 위반했을 가능성이 있는 국제 안보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IEEPA(국제비상경제권법) 및 마그니츠키법 적용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대한 사건을 두고, 본지는 보수 진영의 대표 주자이자 공안검사 출신으로 국가보안법과 대북안보 정책에 깊은 전문성과 실천력을 지닌 황교안 전 국무총리이자 2025 대통령 선거 후보(무소속)를 만나 그의 관점과 대응 전략을 심층적으로 들어보았습니다. 황 후보는 이번 사안을 “정치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안보와 국제사회의 법질서를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으로 규정하며,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면 친북·부패 세력 척결, 북한 급변 대비 통일 전략, 국내외 제재법 총동원 등을 통해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Q. 최근 이재명 후보가 북한에 800만 달러를 비밀 송금했다는 혐의로 미국과 유엔에 고발됐습니다. 이 사건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정치 문제가
[워싱턴 D.C.=고구려프레스 단독보도] 대한민국 제1야당 대표를 지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북한에 약 800만 달러(약 100억 원)를 비밀리에 송금한 혐의로 미국 재무부(OFAC), 미 국무부 인권국(DRL), 그리고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1718위원회)에 국제 제재 대상 인물로 공식 고발된 사실이 확인됐다. 고발은 7일 US워싱턴한인회 회장인 제임스 신(한국명 신동영) 목사 명의로 접수되었으며,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와 글로벌 마그니츠키법(Magnitsky Act)에 따른 국제 제재 요청 서류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800만 달러 대북 송금… 유엔 제재 정면 위반 고구려프레스가 단독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이재명 당시 경기지사 시절 쌍방울그룹이 북한에 약 800만 달러를 송금한 혐의가 고발의 핵심이다. 이 자금은 현금, 현물 또는 방북 추진 관련 비용 대납 형식으로 제공된 정황이 있으며, 유엔 안보리 결의안 1718호 및 2397호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내용이다. 해당 송금은 단순한 불법 거래를 넘어, 북한과의 정치적 거래 및 선거 전략 차원의 대가성 제공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고발인은 이를 국제 제재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