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 이미지. #중국경유 #외국선박 #마약
3월 말 강원도 강릉 옥계항에 정박한 외국 화물선에서 대규모 마약 밀수 시도가 적발됐다. 이 사건은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첩보 제공을 바탕으로 한국해양경찰과의 공조 수사를 통해 드러났으며, 총 수십 킬로그램에 달하는 마약류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사건은 예상과 달리 조용히 경찰청으로 이첩되었고, 이후 언론 공개나 공식 발표 없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분위기다. 수사권을 넘겨받은 경찰청은 최근 중국 공안과 수사 공조 협약을 맺은 기관으로, 이에 따라 수사 방향이 외교적 고려나 대외적 조율을 우선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번에 적발된 마약은 '중국 → 동남아 → 한국 → 미국'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밀수 루트를 통해 운반되던 것으로 파악되면서 미국 수사당국도 이 사안을 비상하게 주시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수사 경과를 알고 있는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 측에서도 이 루트를 심각하게 보고 있으며, 한국 수사 당국의 대응 수위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한 전직 마약수사 전문가는 “이 정도 규모의 국제 마약 범죄라면 통상적으로는 검찰 주도의 직수사 혹은 한미 간의 협조 수사가 병행되어야 한다”며 “하지만 현재 상황은 비정상적으로 조용하다. 수사가 축소되거나 정치적 판단에 따라 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사건 발생 후 보름이 넘도록 정부는 구체적인 발표나 수사 현황을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언론 매체 역시 이 사건을 다루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온라인을 중심으로 사건의 은폐 가능성을 우려하는 시민 반응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와 감시 네트워크는 이번 사건에 대한 투명한 수사와 공개를 요구하며, 온라인 성명과 정보 공개 청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마약 밀수 사건을 넘어 한국 수사기관의 독립성과 국제적 신뢰 문제로까지 번질 수 있다. 특히 수사 주체가 중국 공안과의 협약을 맺고 있는 점에서 이첩 결정의 적절성과 국가적 이익에 대한 우선 순위가 무엇이었는지를 따져보는 것이 불가피해졌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 앞에 진실이 투명하게 공개되는 것이다. 이 사건이 또 하나의 ‘침묵 속 진실’로 사라지지 않도록 언론과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감시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