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부정 선거 조사

[기획] 트럼프, 드디어 ‘부정선거 폭탄’ 터뜨렸다

“다른 나라들에서의 조직적 개입과 불법 선거”
진 커밍스 “트럼프는 한국 국민에 메시지 던졌다”
美법무부 ‘국제 선거 무결성’ 본격 조사 착수
A-WEB과 대한항공 투표지 운송 사건까지 재조명
고든 창 “이재명 인정해선 안 돼… 대선 다시 해야”
“이제는 피할 수 없는 진실의 시간”… 한국도 포함?


“그들은 더 이상 숨을 곳이 없다. 증거는 차고도 넘친다.”(도널드 트럼프, 7월 3일(현지시간) 디모인 연설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미국 독립기념일 이브에 맞춰 전 세계 부정선거 수사 확대를 공식화하면서, 그 발언과 행보가 한국 정가와 시민사회에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특히 트럼프가 언급한 “다른 나라들에서의 조직적 개입과 불법 선거”가 대한민국을 지칭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국내외에서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열린 UFC 행사 직전 대규모 집회를 열고, 2020년 미국 대선 부정선거 의혹을 재차 거론했다. 그러나 이번 연설은 과거와 달리 “국제 공조에 의한 선거 조작” “다른 국가에 대한 FBI 수사 지시” “숨을 곳 없는 범죄자들” 등의 표현을 동반하며 국제사회 전체를 겨냥한 수사 확대를 시사했다.

 

트럼프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2020년 미국 대선은 외국 세력의 조직적 개입에 의해 조작됐다. 단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다른 나라들에서도 똑같은 방식의 불법 선거가 진행되었고, 우리는 그것을 정확히 알고 있다.”

 

이 발언에 대해 한국계 미국 언론인 진 커밍스는 자신의 SNS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드디어 부정선거 개입국들을 폭로하기 시작했다”며 “한국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 대상임이 명백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법무부는 최근 ‘국제 선거 무결성 조사 확대’를 공식화하며, 단순히 미국 내 선거 조작 여부에 국한하지 않고 전 세계 민주주의 체계에서 발생하는 선거 개입 의혹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내 정보기관과 사이버 범죄 수사 부서는 이미 관련 ‘사이버 부정행위’ 및 ‘우편투표 조작’ 정황을 추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법무부 관계자가 언급한 민감 국가 목록에 대한민국·우크라이나·대만이 포함되어 있다는 외신 보도는 국내 정가에 일대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진 커밍스는 특히 트럼프의 “그 나라들에도 미국을 사랑하는 시민들이 존재한다. 나는 그들을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다”라는 발언에 주목했다.


이에 대해 커밍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국명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는 분명히 한국의 애국 시민들을 염두에 둔 발언”이라며 “한국의 부정선거 진실을 드러내기 위한 국제적 수사의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수사 확대와 관련해 국제선거지원기구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활동과 2020년 4.15 총선 당시 대한항공(KAL)을 통해 옮겨진 투표지 문제도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내 보수 매체들은 “A-WEB이 부정선거 메커니즘의 중간 매개체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집중 보도하며, 한국 내 선거 관련 기록의 투명한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연설 이후 폭스뉴스(Fox News)·뉴스맥스(Newsmax)·워싱턴타임스(Washington Times)·더힐(The Hill) 등 미국 유력 보수 언론이 한국 부정선거 의혹에 주목한 기사를 연이어 내보내고 있으며 ‘선거무결성 수사 대상국’으로 한국을 직접 언급한 보도도 감지되고 있다.


트럼프와 가까운 국제법 전문가 고든 창 변호사도 수위 높은 발언을 내놨다. 그는 SNS에서 “이재명을 대통령으로 인정해선 안 된다. 선거를 다시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구출하라”며 이 대통령에 대한 부정선거 책임론을 명확히 언급했다.


이는 단순한 비판을 넘어, 대한민국의 현 정부의 정통성과 국제 신뢰도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경고성 메시지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트럼프 발언과 미 법무부의 수사 착수는 한국 내 선거 시스템과 정치 구조에 국제적 감시의 눈이 본격적으로 들어왔다는 신호로 보인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음모론이나 유튜브 루머로 치부되던 의혹들이, 미국의 현직 대통령과 법무부의 공식적 언급을 통해 국제적 조사 대상으로 격상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미국 내 청문회나 공청회 과정에서 한국의 부정선거 의혹이 직접 다뤄질 가능성을 점치고 있으며, 특히 모스 탄 전 미 국무부 국제형사사법대사가 7월 14일부터 19일까지 재방한 예정이라는 사실이 주목받고 있다. 모스 탄은 이미 6월 워싱턴 D.C. 내셔널프레스클럽 기자회견에서 한국 선거 부정 및 A-WEB 개입 의혹을 폭로한 바 있다.


한국의 선거 부정 의혹은 이제 단지 내부 정치 문제가 아닌 국제적 신뢰와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을 건 사안으로 떠올랐다. 미국 법무부의 수사 확대와 트럼프의 선언은 이제 한국도 전면적인 진상 규명에 나서야 할 시점임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진실은 아무리 늦어도 도착한다. 그리고 이제, 그 진실이 문을 두드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