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잇따라 벌어진 반중(反中) 시위를 직접 겨냥한 법안을 발의하면서, 집회와 표현의 자유를 강조해 온 기존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비판이 거세다. 특히 이번 조치가 이달 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을 앞두고 추진된 점에서, 중국 눈치를 본 ‘굴종적 입법’ 아니냐는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5선, 국회 한중의원연맹 회장)은 2일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주요 골자는 △특정 인종·국가·장애인 등에 대한 차별·혐오 집회 금지 △타인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모욕성 집회를 제한 통고 대상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법안에는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 13명이 공동 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김 의원은 제안 이유에서 “최근 일부 집회가 특정 국가와 인종을 노골적으로 혐오하고 폭력적 행위를 선동하고 있다”며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넘어서는 집회를 규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중국인 무비자 입국 시행 이후 혐중 시위가 부정선거 음모론과 결합해 더욱 격화되고 있다”며 사회적 혼란을 우려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여러 차례 반중 집회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특정 국가와 국민을 향한 괴담과 혐
“◈인프라 파괴(운송·에너지·통신) △철도 시설 파괴—열차 운행·물류 차단 목적 △유류 공급 인프라 파괴(유조창·미군 유류라인 포함)—연료 공급 차단으로 군·민간 이동·가동 마비 유도 △가스·전력 시설 파괴—도시 기능·공장·병원 등 필수기능 마비 유도 △통신중심지(예: IDC) 파괴—인터넷·서버 서비스 전면 마비 목적 ◈통신·전자전·사이버 공격 △레이더·감시체계 마비(해킹·전자교란)—방공·조기경보 능력 약화 △통신망 교란·망 파괴(무선·유선 포함)—명령·보고·비상연락 체계 마비 유도 ◈물리적 무력화·탈취 △무기·탄약 탈취(무기 탈취)—적·테러 조직의 전력 보강 목적 △총기·폭탄 구입·제조—직접적 폭력행위 실행 수단 확보 ◈내부 혼란·정보전 △주요 시설 근무자 포섭(내부자 확보)—내부 기밀·접근권 활용, 시설 방호 무력화 △선전·심리전(대중동원·선전전)—사회 불안·혼란 조성, 저항 능력 약화.” 수사당국이 밝힌 이석기 전 의원 주도 ‘RO(혁명조직) 권역별 모의 주요 내용’이다. 내란음모가 발각돼 처벌 받은 이 전 의원이 꿈꾼 ‘서울 한복판에서 체제 전복을 시도한 세상’이 이런 모습이 아닐까. 국가 전산망 하나가 멈추자 일상과 행정·안전·생계가 동시다발적으로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부정선거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캐나다 출신 69세 남성 데니스 부샤르(Denis Bouchard)가 미국 연방 선거에서 불법 투표를 한 혐의로 기소돼 국제 사회의 관심을 끌고 있다. 부샤르는 2022년과 2024년 대통령 선거를 포함한 연방 선거에서 미국 시민권자라고 허위로 주장하고 투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연방 대배심은 29일(현지시간) 부샤르를 불법 유권자 등록 및 연방 선거에서의 투표 혐의로 기소했다고 발표했다. 연방 검사 엘리스 보일(Ellis Boyle)은 “비시민권자가 불법으로 투표할 경우 실제 시민의 권리가 침해되고 선거 결과가 무효화될 수 있다”며 “부샤르의 경우 지난 20년간 뉴한노버와 펜더 카운티에서 여러 차례 불법 투표를 한 것으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기소장에 따르면, 부샤르는 1960년대부터 미국에 거주했으나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았음에도 2022년과 2024년 유권자 등록 신청서에서 자신을 미국 시민이라고 기재했다. 그는 18 U.S.C. § 1015(f)와 52 U.S.C. § 20511(2)(B)에 따라 각각 두 가지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유죄 판결 시 각 혐의당 최대 5년의
대표적 미국 보수 원로이자 ‘트럼프 멘토’로 불리는 뉴트 깅그리치 전 미 하원의장이 27일자 워싱턴타임스 기고문에서 한국의 현 상황을 ‘자유와 민주주의의 위기’라 규정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가 보수 야당과 교회 지도자들에 대한 대규모 압수수색을 감행한 사실을 거론하며 “숨 막힐 지경의 정치·종교 탄압(all-out assault)”이라고 직격했다. 깅그리치는 특히 “어떤 경우에는 1000명 이상의 검경이 새벽 7시에 종교 지도자의 집과 사무실에 들이닥쳤다”는 구체적 사례까지 언급했다. 그는 이를 바이든 행정부의 마러라고 트럼프 자택 급습에 빗대며 “모욕적이고 위협적인 행위”라고 규정했다. 심지어 미군과 협의 없이 오산 합동기지의 한국 측 구역을 수색한 사실까지 지적하며 “미국의 동맹 체계를 흔드는 오만함”이라고 경고했다. 민주주의 위기, 그러나 ‘미래를 가르는 분수령’ 깅그리치의 글은 단순한 비판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앞으로 몇 주는 한국과 미국의 미래를 가늠할 중요한 순간”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경찰국가 전술’에서 법치로 돌아설 기회를 여전히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이 문제를 직접 제기했고, 이는 워싱턴이 한국 민주주의의 퇴행을 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한·미 정상회담 직전 “한국에서 숙청과 혁명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는 그런 곳에서 사업을 할 수 없다”고 경고한 가운데, 그의 발언 배경과 의미를 두고 모스 탄 전 미국 국무부 국제형사사법대사가 워룸(War Room) 인터뷰에서 충격적인 증언을 내놨다. 모스 탄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은 정확하다. 한국에서 불법 선거를 통해 권력을 잡은 이재명은 지금 ‘숙청’과 ‘박해’를 자행하고 있다”며 “정당한 대통령 윤석열이 헌법적 권한을 행사했음에도 파면된 것은 사실상 ‘혁명’이었다”고 직격했다. 그는 이어 “이재명 정권은 원래 권력을 잡았어야 할 사람들과 윤석열 지지자들을 ‘폭동 선동자’로 몰아가고 있다”며 “특정 웹사이트에는 800여 명이 ‘내란 가담자’로 분류돼 등급까지 매겨지고 있다. 이는 조직적 숙청 작업”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한국 내 주요 교회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두고 “여의도순복음교회, 서울중앙침례교회, 세계로교회, 사랑제일교회 등 세계적 대형 교회들이 윤석열 지지 세력의 근거지라는 이유로 탄압을 받고 있다”며 “이는 한국을 공산화하려는 시도와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탄 대사는 또 트럼프가 이번 정상회담 전 입수한 정
4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은 ‘재판관 전원일치’라는 상징성과 함께 한국 정치사에 깊은 분수령을 남겼다. 그러나 이 전원일치 판결이 사실상 ‘조율된 만장일치’였다는 점이 드러나면서, 헌법재판소의 독립성과 법적 정당성에 대한 비판이 학계에서 처음으로 정면으로 제기됐다. 조선일보에 의하면 한국정치학회장이며 국회입법조사처장을 역임한 원로정치학자 심지연(77) 경남대 명예교수는 최근 출간한 ‘한국정당정치사’ 제5차 증보판에서 헌재의 판단 과정을 ‘헌법재판소법 위반’이라고 규정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은 절차적 정당성을 상실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심 교수의 지적: "헌법재판소는 명백한 잘못을 저질렀다" 해당 증보판 991쪽에 따르면, 심 교수는 헌재 판결 직후 공개된 문형배 재판관의 발언에 주목했다. 문 재판관은 “재판관 8인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극심한 혼란과 불안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소수 의견도 최대한 다수 의견에 담아내기 위해 조율했다”고 시인했다. 이는 헌법재판소법 제4조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는 지적이다. 동법 제4조는 명확히 “재판관은 헌법과 법률에 의하여 양심에 따라 독립하여 심판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외부의 압력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국회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정동영 통일부 장관, 안규백 국방부 장관, 권오을 보훈부 장관에 대한 임명안을 전격 재가했다. 모두 청문회 과정에서 국민적 비판을 받은 ‘하자투성이’ 후보들이며, 야당이 “임명 불가” 의견을 공식 전달한 인사들이라는 점에서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강한 반발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즉각 성명을 통해 “이재명 정권은 협치도, 책임도, 국민 눈높이도 없다”며 “이번 인사는 사실상 ‘인사 폭주’이자 ‘불통 선언’”이라고 규탄했다. 정동영 통일장관: 통일쪽박론, 태양광 가족사업… ‘대북 정책 후퇴’ 우려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은 노무현정부 시절 통일부 장관을 지냈고,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통일대박론을 제기했을 당시 이를 정면 비판하며 “통일은 쪽박”이라 언급해 거센 논란을 불러온 인물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남북 통일을 비하한 발언”이라는 비판이 거셌으며, 이후 정치권에서 ‘통일 비관론자’로 분류돼 왔다. 이번 청문회에서는 그의 가족이 연루된 태양광 발전 사업을 둘러싼 이해충돌 논란이 불거졌다. 가족 소유 업체가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수혜 대상이라는 점에서, 향후 남북 에너지 교류 및 접경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 수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옥중에서 국민을 향한 절절한 메시지를 공개했다. “말도 안 되는 정치적 탄압은 저 하나로 족합니다”라는 이 한마디는 정치보복의 시대를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5월 대선 기간 중 국민의힘 탈당 선언 이후 처음으로 심경을 밝혔다. 그는 “평생 몸담은 검찰을 떠나 정치에 투신하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때부터, 제 스스로 형극의 길로 들어섰음을 알고 있었다”며 “그러나 대한민국의 현실을 그대로 두고 볼 수 없어 그 길을 거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의 배경에 대해 “자유민주주의와 헌정질서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었기에 결단했다”고 강조하며 이미 탄핵심판 과정에서 국민에게 최선을 다해 설명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상급자의 정당한 명령에 따랐던 군인과 공직자들이 법정에 불려나가 고초를 겪고 있다. 저 하나로 족하다”며 죄 없는 이들에 대한 탄압 중단을 호소했다. “한평생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의 명예를 더럽히는 행위는 즉각 멈춰야 한다”는 절박한 외침은 자유를 위한 책임자
“지금이 바로 그 시간이며, 여기가 바로 그 장소입니다. 일어나십시오!” 18일 저녁 서울역 광장은 더 이상 단순한 교통 중심지가 아니었다. 수천 명의 시민이 자발적으로 모여든 이곳은 진실을 향한 외침과 정의를 부르짖는 ‘현장’이 되었다. 이 중심에는 모스 탄(Moss Tann) 전 미국 국무부 국제형사사법 대사가 있었다. 그는 이날 수만 명 앞에서 40분 가까운 메시지를 쏟아내며 “지금 한국은 자유와 공산주의, 정의와 억압의 갈림길에 서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재명 정권은 미국을 무시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정치는 진실 앞에 무릎 꿇게 될 것” 모스 탄 대사는 이날 발언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과 구속은 명백히 잘못된 일이며, 이재명 대통령의 소년원 수감설과 부정선거 문제는 증거와 증언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의문을 던졌다. “왜 그가 다닌 학교 교감의 시신이 호수 밑바닥에서 발견됐는지, 왜 그의 옷이 소년원 복장과 일치했는지, 왜 졸업장이 없는지, 왜 고향에서 환영받지 못하는지…, 왜 제 주장을 반박한 국회의원이 영상을 지운 건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그는 “소년원 수감자는 모
국무총리를 지낸 황교안 창당준비위원장이 주도하는 신당 ‘(가칭)자유와혁신당’이 7월 12일(토) 오후 1시 경기도 일산 킨텍스 9홀에서 공식 창당대회를 열고 본격적인 정치행보에 나선다. 이번 창당은 단순한 정당 출범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황 준비위원장은 “부정선거를 막지 않으면 자유대한민국은 무너진다”며 신당 창당의 명분을 부정선거 척결과 자유민주주의 복원에 두고 있다. 발기인 대회부터 창당까지, 숨 가빴던 한 달 자유와혁신당의 출발은 6월 6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 발기인 대회였다. 당시 1000여 명의 지지자가 운집한 가운데, 황 전 총리는 “반국가세력과 싸울 새로운 정치운동”을 선언했다. 같은 날 인천·경북에서도 지역 발기인 대회가 동시 진행되며, 전국 단위 창당의 포문이 열렸다. 이후 6월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창당준비위원회 등록을 완료한 자유와혁신당은 곧바로 당원 모집과 지역 창당 작업에 돌입했다. 7월 초까지 서울·경기·인천·대구·부산·경남 등 6개 시도에서 창당대회를 마쳤고, 대전·광주·제주 등에서도 발기인 대회를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현재 전국 17개 시도에 조직을 구축 중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당원 가입은 폭발적인 반응
2025년 7월, 미국 외교·정치권에 발칵 뒤집힌 인선 정보가 확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11월 대선 승리를 가정한 외교팀 내부 문건에서 차기 주한 미국대사 유력 후보 3인이 사실상 압축됐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그 파장이 한·미 외교계를 강타하고 있다. 고든 창(Gordon Chang·74) 변호사, 줄리안 모스 탄(Julian Mos Tan·51) 전 국무부 국제형사사법대사, 그리고 미셸 은주 스틸(Michelle Eunjoo Steel·70) 전 연방 하원의원이 그 주인공이다. 공통점은 뚜렷하다. 이들은 모두 △중국·북한 공산주의 정권에 강경하며 △한국의 부정선거와 민주주의 현황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으며 △‘전통 외교관 출신’이 아닌 트럼프식 가치 외교를 대변한다는 점이다. 고든 창 – 中몰락론의 선봉장 “韓은 더 이상 완충지대가 아니다” 중국인 아버지와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코넬대 법학대학원을 졸업한 고든 창 변호사는 대표적 중국 비판론자이자 보수 외교논객으로, 저서 ‘중국의 몰락(The Coming Collapse of China)’으로 미국 보수진영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중국 공산당의 패권주의에 대해 끊임없이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이재명. 그는 본인을 ‘가난한 화전민의 아들’이라 칭하며, 어려운 환경을 딛고 고졸 검정고시·사법고시를 통과해 입지전적인 인물로 성장했다고 자평한다. 그러나 그의 실제 성장 배경과 인격 형성 과정에 대한 반대되는 증언과 자료들이 잇따르며 이재명 대통령의 정체성을 둘러싼 의혹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 지통마을 90세 노인 “되바라지고 못되게 굴던 아이” 경북 안동시 예안면 도촌리 지통마을. 이재명의 본적지로 알려진 이 작은 마을에서 90세를 넘긴 노인들은 “이재명은 어릴 적부터 되바라지고 교활한 아이였다”고 증언한다. 마을 주민 A씨는 “학교에 안 가고 빈둥대며 남의 집 쇠붙이를 주워 엿장수에 넘겼고, 수리 중이던 앞집 쟁기날까지 가져가 엿으로 바꿨다”며 “그때부터 ‘여우짓 한다’고 여시라 불렀다”고 말했다. 또 다른 노인은 “노름꾼 아버지의 아들이고, 야반도주하던 가정 환경 때문인지 어린 시절부터 목적을 위해선 수단을 가리지 않았다”며 “지금 하는 짓이나 어릴 때나 똑같다”고 평가했다. 초등학교 은사 “성적표 찢고, 고집 세고, 말 함부로 하던 아이” 이재명이 2021년 안동 삼계초등학교를 방문했을 때 만난 은사 박병기 교사는 “정치인
“그들은 더 이상 숨을 곳이 없다. 증거는 차고도 넘친다.”(도널드 트럼프, 7월 3일(현지시간) 디모인 연설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미국 독립기념일 이브에 맞춰 전 세계 부정선거 수사 확대를 공식화하면서, 그 발언과 행보가 한국 정가와 시민사회에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특히 트럼프가 언급한 “다른 나라들에서의 조직적 개입과 불법 선거”가 대한민국을 지칭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국내외에서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열린 UFC 행사 직전 대규모 집회를 열고, 2020년 미국 대선 부정선거 의혹을 재차 거론했다. 그러나 이번 연설은 과거와 달리 “국제 공조에 의한 선거 조작” “다른 국가에 대한 FBI 수사 지시” “숨을 곳 없는 범죄자들” 등의 표현을 동반하며 국제사회 전체를 겨냥한 수사 확대를 시사했다. 트럼프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2020년 미국 대선은 외국 세력의 조직적 개입에 의해 조작됐다. 단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다른 나라들에서도 똑같은 방식의 불법 선거가 진행되었고, 우리는 그것을 정확히 알고 있다.” 이 발언에 대해 한국계 미국 언론인 진 커밍스는 자신의 SNS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
인천세관발 초대형 마약사건이 또다시 정쟁의 도구가 되고 있다. 74kg 규모 필로폰 밀수 사건 수사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는 폭로가 나오자, 더불어민주당과 일부 언론은 기다렸다는 듯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겨냥하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 사건의 본질은 무엇인가? 대한민국을 좀먹는 마약 범죄를 진짜로 막으려 했던 쪽이 누구였고, 방해한 세력이 누구인가? 드러난 ‘마약 카르텔’… 尹정부 전폭 수사 의지 2023년 인천세관을 통한 마약 밀수 수사가 본격화되자 경찰과 검찰은 이례적으로 협업해 국제 마약조직의 루트를 추적했다. 특히 당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마약과의 전면전을 선포하고, 전국 단위 마약 유통망을 정조준했다. 필로폰 74kg 밀수사건은 단일 사건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에 해당하며, 그 가치는 시가 5000억 원에 육박한다. 게다가 관세청 일부 직원의 연루 가능성까지 드러나자 수사팀은 총력 태세로 돌입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정치적 불편한 진실’이 드러나자 수사팀 와해·해체가 뒤따랐다는 주장이 나왔고, 일부 야당 인사들과 친야 언론은 이 사안을 윤석열 정부의 책임으로 몰고 가는 프레임을 가동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다수의 국민은 오히려
“선거의 공정성은 민주주의의 심장이다. 그 심장에 중국의 손이 뻗쳤다면, 이는 단순한 내정 간섭이 아닌 문명에 대한 도전이다.”(2025년 6월 26일, 미국 국제선거감시단 기자회견 중) 6월 3일 치러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둘러싼 부정선거 의혹이 국제 사회의 이목을 끌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국제선거감시단(IEMT)은 6월 26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 최고 권력기구인 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왕후닝(王沪宁)을 이번 한국 대통령 선거 조작의 사상적·전략적 배후로 지목했다. 국제선거감시단의 일원인 백악관 NSC 사이버 전략 담당 출신인 존 밀스(John Mills) 미 육군 예비역 대령은 이날 “6.3 한국 대선에서 중국공산당과 연계된 국제적 ‘선거 부정 카르텔’이 개입했으며, 그 배후는 왕후닝 등 중국 고위전략가들”이라고 폭로했다. 존 밀스는 한국중앙선관위와 국제기구인 A-WEB, 중국공산당 정보부서가 모종의 연결고리를 통해 조직적·국제적 선거 조작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왕후닝을 이번 국면의 사실상 총괄 책임자로 지목하며, 그가 사이버·정보 작전을 설계·지휘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가짜 출구조사” 등 허위 정보 확
©이영돈TV :https://www.youtube.com/watch?v=9aN-NDxRqiM' Korea Election Fraud : Tracing Korea’s Early Voting Anomaly: Did It Begin in 2016? Repeating statistical shifts favoring one party appear across multiple elections When did Korea’s early voting anomaly begin? According to Lee Young-don TV, the earliest signs trace back to the 2016 general election. From that year onward, vote share discrepancies between early and election-day voting started to widen—always in favor of the Democratic Party. This pattern intensified in the 2020 and 2024 elections. Statistically, such consistent directionality
©이영돈TV :https://www.youtube.com/watch?v=9aN-NDxRqiM' Korea Election Fraud : Identical Standard Deviations? Statistician Suggests Election Was Engineered Vote distributions with matching fourth-decimal deviations defy natural explanation In a striking discovery, Korea’s 2025 election data showed that both major candidates—Lee Jae-myung and Kim Moon-soo—had vote distributions with identical standard deviations down to the fourth decimal place. This symmetry, uncovered by Lee Young-don TV, is statistically implausible. Standard deviation measures the spread of values from the mean; two candidates
Korea Election Fraud : Randomness Defied: Korea’s Early Voting Pattern Raises Scientific Red Flags Early votes should reflect a random cross-section, not partisan uniformity Early voting is intended to reflect individual scheduling needs, not political targeting. Statistically, this means early vote results should mirror general voter distribution. But in Korea’s 2025 election, early voting disproportionately favored one candidate—raising doubts about the randomness of the process. According to Lee Young-don TV’s analysis, early votes showed a consistent partisan bias that defied statistical n
Korea Election Fraud : Conservative Strongholds Flip Left Overnight? Election Results Defy Logic Sudden reversals in Seocho, Jongno, and overseas voting raise red flags In Korea’s June 3, 2025, presidential election, the most surprising outcome came from traditionally conservative regions that unexpectedly turned blue. Lee Jae-myung, the Democratic candidate, defeated Kim Moon-soo not only in early votes in Seoul’s Seocho and Jongno districts but also in overseas ballots—territories once considered right-wing bastions. In Seocho, where Kim had a strong advantage in previous elections, Lee l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Voting and Democratic Support? The more people voted early, the fewer votes went to the Democratic party—statistically baffling In its analysis of Korea’s June 3, 2025, presidential election, Lee Young-don TV uncovered a deeply counterintuitive statistical anomaly: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voting rates and the Democratic Party’s vote share. Conventional logic suggests that if Democratic supporters favor early voting, then precincts with high early turnout should show higher Democratic support. However,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e opposite. In m
Korea Election Fraud : Korea’s 2025 Election Mirrors Patterns of Russia and Uganda PNAS fraud detection model shows disturbing similarities with authoritarian regimes The June 3, 2025,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is drawing international scrutiny for its unusual voting patterns. According to analysis cited by Lee Young-don TV, the election data exhibits a statistical structure that closely resembles fraudulent elections in authoritarian countries such as Russia and Uganda—rather than democratic nations like Canada or Switzerland. The method applied stems from a 2011 study published in
imgae source: Attorney Juhyun Park TV New data from South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reveals a disturbing discrepancy: while 79.4% of domestic voting districts selected Kim Gun-soo as the leading candidate, a staggering 99.6% of overseas districts reported Lee Jae-myung as their top choice. According to figures analyzed by Attorney Juhyun Park (박주현 변호사 TV), this dramatic vote split has alarmed election watchdogs and citizens alike. Experts argue such a uniform overseas result defies probability and may point to manipulation or vote tampering. Civic groups are demanding a full audit of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뜬금없이 우리나라 국기(國旗)인 태극기 관련 ‘대한민국국기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입법예고해 논란을 부르고 있다. 발의자인 민주당 이기헌 의원을 비롯한 박지원·정동영 등 11인이 12일 국회에서 발의한 ‘대한민국국기법 일부개정법률안’은 태극기의 역사성과 의미를 재정립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조선의 고종이 1883년 3월 6일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공포한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여 매년 3월 6일을 ‘태극기의 날’로 지정하고 태극기의 날부터 1주일을 태극기 주간으로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은 아울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태극기의 날(태극기 주간을 포함한다) 취지에 적합한 행사와 교육·홍보사업을 실시한다. 이들의 주장은 고종이 태극기를 국기로 공포한 날을 기념일로 삼아 태극기의 가치를 되새기고 정치적 오용을 방지하자는 데 있다. 겉으로 보기엔 일견 그럴듯해 보인다. 하지만 들여다보면, 이 개정안이 지닌 문제점은 적지 않다. ◇태극기의 정치화를 막겠다며 정치화하는 아이러니 법안의 제안 이유는 다음과 같다. “태극기가 특정 정치집단의 집회나 정치적 주장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특정 집단의 상징으로 오인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